Golden Bird

재무제표 본문

창업

재무제표

Golden Bird 2022. 10. 13. 15:19

1. 재무제표 개요 

: 대차대조표, 손익계산서, 현금흐름표,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

  • 대차대조표 (Balance Sheet)
    • 돈이 들어온 소스 및 돈의 분포 -> 이렇게 들어온 돈을 어디다가 쓰는지 파악  
    • 자산총계 = 부채총계 + 자본총계(투자+잉여금+자본금)
    • 유동 자산: 1년 내에 현금화 할 수 있는 당좌자산, 재고자산. 
      • 당과자산: 단기지급능력 측정 기준. 즉, 안정성의 중요 지표. 하지만 유가증권, 매출채권, 단기대여금, 미수금 등 허수 가능성 있음. 
      • 재고자산: 정상적인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생산 중인 자산 or 소모될 자산. ex) 부동산매매업 판매목적의 부동산. but 안 팔릴수도 있으니 1년 내에 진짜 소모될 자산인지 확인해야한다. 
    • 고정 자산(비유동): 현금화에 1년 이상 소요될, 장기적으로 묶이는 자산. 회사의 이익활용과 성장의 철학을 보여주는 지표 
      • 투자자산: 우리 사업과는 무관한 투자. 
      • 유형자산: 토지, 건물, 공장, 자동차 등의 형태가 있는 소유 자산. 
      • 무형자산: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, 자산의 취득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무형자산. 회사의 형태에 따라 무형자산이 큰게 좋을 수도 아닐수도.  ex) R&D 투자나 소프트웨어, 지적재산권.
    • 유동 부채 : 1년 내에 상환될 것으로 기대되는 채무. 
      • 회사의 안정성, 특히 지불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. 
      • 단기차입금, 외상매입금, 미지급금. 
    • 고정 부채 : 1년 이후에 상환될 것으로 기대되는 채무. 
      • 회사와 함께 risk taking의 의미가 있다 : 유동부채는 이미 확정된 금리로 채권자가 받고자 하는 위치. 고정부채는 회사의 미래에 따라 어떻게 할지 선택. (금리 or 주식) -> 부채긴 하지만 주식으로 달라고 하면 자본금이 되므로 재무구조가 확 좋아질 수 있다. 
      • 장기사채, 장기차입금(정부로부터 기업을 도와주는 돈), 퇴직급여충당금(지금 퇴사한게 아니니까. 회사가 다닐만 하고 가치 있으면 지급할 일이 없을 것이다)
      • 신생 회사들은 고정 부채가 많다. 
    • 자본금 : 회사와 운명을 같이!
      • 자본금 = 발행주식수 * 액면가 
      • 자기자본 = 자본금 + 잉여금(이익잉여금, 자본잉여금) 
      • 이익잉여금: 영업활동으로 축적된 이익을 쌓은것. 이익잉여금이 있어야 배당금이 가능하다.
      • 자본잉여금: 투자 받은 것에서의 이익을 쌓은것. 자본잉여금이 있어야 무상증자가 가능하다.

어떤 라면 가게의 이야기... 

1000만원으로 (주) 라면 설립 (주당 500원, 20000주)

친구가 1,000만원 투자, 33.3% 지분 확보. (10,000주 증자, 주당 1,000원에 증자참여)

은행에서 1,000만원 대출(3년후 상환), 현금서비스 500만원. 

  • 돈의 소스 

유동부채 500

고정부처 1,000

자본금 1,500 <- 나머지는 몽땅 자본금. 

자본잉여금 500

 

임대보증금 500, 설비투자 200, 재료구입 200, 연구개발 100, 비상장 주식투자 200, 상장 주식투자 300, 나머지 은행 2,000

  • 자산

당좌자산 2,300

재고자산 200 (재료구입)

 

투자자산 700 (주식투자)

유형자산 200 (설비투자)

무형자산 100 (연구개발비)


  • 손익계산서 
    • 이익의 종류: 매출총이익, 영업이익, 경상이익, 특별이익 
      • 매출총이익: 라면이라는 아이템으로부터 발생한 이익. 
      • 영업이익: 라면이라는 사업에 있어 발생하는 이익. 라면 사업의 사업성. 
      • 경상이익: 사업성 + 주변 환경 합쳐서, 라면이라는 회사에서 발생하는 이익. (라면 +alpha)
      • 당기순이익: 다~ 해서 결국 통장에 남은게 얼마? 
      • 기업의 성격에 따라 어떤 이익이 중요한지 다르며, (주)라면은 앞으로도의 사업성 파악을 위해서 영업이익이 중요하다. 
  • 현금흐름표 : 매우매우 중요! 통장에 찍힌 걸로만 판단. 
    • 영업활동: (+) 판매, 이자, 배당금 수취  (-) 원자재 구매, 이자비용 지급, 법인세비용 지급
    • 투자활동: (+) 대여금 회수, 유가증권&투자자산&고정자산 처분  (-) 대여금 증가, 유가증권&투자자산&고정자산 취득 
    • 재무활동: (+) 장,단기차입금 증가, 어음 사채 발행, 주식 발행  (-) 장,단기차입금 상환, 어음 사채 상환, 배당금 지급 
    • 영업현금흐름은 기업의 실력, 투자활동은 선택, 재무활동은 신뢰

 

2. 기업의 재무 분석

: 안정성, 수익성, 활동성, 성장성

  • 안정성 분석: 유동비율, 고정비율, 부채비율, 차입금 의존도, 매출채권&매입채무 비율,
  • 수익성 분석: 총자본 경상이익율, 기업경상이익율, 적립금비율, 매출액 영업이익율
  • 활동성 분석: 기업에 투입된 자본이 얼마나 활발하게 매출창출을 위해 활용되었는지. 
  • 성장성 분석
  • 부도 예측